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구로동맛집
- 강진이사
- 현재상영작
- 완도이사
- 무료드라마보는곳
- 만리포해수욕장펜션
- 안면도펜션
- 구로1동맛집
- 서해안펜션
- 안면도바닷가펜션
- 고척동해장국맛집
- 부천복성원
- tv드라마다시보기
- 태안만리포
- 태안커플펜션
- 구로구맛집
- 안면도가족펜션
- 복성원간짜장
- 자연산바다장어
- 태안펜션
- 완도대리운전
- 삿포로아이젠
- 구일역맛집
- 영화무료보기사이트
- 해남이사
- 고척돔구장맛집
- 서해바다펜션
- 아나고구이
- 바다가보이는캠핑장
- 오류동남길참치
Archives
- Today
- Total
노니 뭐해
한국의 야생화 능소화 본문
한국의 야생화
능소화
[이름의 유래]
밤을 능가할 정도로 꽃이 환하다는 뜻으로 능소화(凌宵花)라는이름이 붙었다. 중국이름 능소화를 차용하여 陵(업신여길 능) + 소(안나옴, 하늘 소). 덩굴이 나무에 달라붙어 하늘을 향해 높게 오르는 특성에서 유래되었다.
[다른 이름]
능소화나무, 미국나팔꽃(제주), 금등화(金藤花), 망강남, 자위, 대화능소화, 오과룡, 기생화, 능화, 라팔화, 양반꽃, 릉소화, 능소화(북한), 금등화(황색 꽃 피는 등나무), 양반나무(새싹이 늦게 나와 동작느린 양반에 비유) (이)라고도 한다.
[용도]관상용.약용(잎.줄기), 한방과 민간에서 어혈.이뇨.창종.통경.산후통.대하증.양혈.안정등의 약재로 쓴다.
[특징]
낙엽 덩굴나무이며 가지에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가고 길이가 10m에 달한다. 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.
작은잎은 7~9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3~6cm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.
꽃은 6월 말~8월 말경에 피고 가지 끝에 원뿔형을 이루며 5~15개가 달린다. 꽃의 지름은 6~8cm이고, 색은 귤색인데, 안쪽은 주황색이다.
꽃받침은 길이가 3cm이고 5개로 갈라지며, 갈라진 조각은 바소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.
화관은 깔때기와 비슷한 종 모양이다. 수술은 4개 중 2개가 길고, 암술은 1개이다. 열매는 속에 씨앗이 들어있는 형태고 네모지며 2개로 갈라지고 10월에 익는다.
[서식 환경]
중국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들여와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관상용으로 흔히 심고 있는 귀화식물이다.
한국의 야생화 능소화
능소화
[이름의 유래]
밤을 능가할 정도로 꽃이 환하다는 뜻으로 능소화(凌宵花)라는이름이 붙었다. 중국이름 능소화를 차용하여 陵(업신여길 능) + 소(안나옴, 하늘 소). 덩굴이 나무에 달라붙어 하늘을 향해 높게 오르는 특성에서 유래되었다.
[다른 이름]
능소화나무, 미국나팔꽃(제주), 금등화(金藤花), 망강남, 자위, 대화능소화, 오과룡, 기생화, 능화, 라팔화, 양반꽃, 릉소화, 능소화(북한), 금등화(황색 꽃 피는 등나무), 양반나무(새싹이 늦게 나와 동작느린 양반에 비유) (이)라고도 한다.
[용도]관상용.약용(잎.줄기), 한방과 민간에서 어혈.이뇨.창종.통경.산후통.대하증.양혈.안정등의 약재로 쓴다.
[특징]
낙엽 덩굴나무이며 가지에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가고 길이가 10m에 달한다. 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.
작은잎은 7~9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3~6cm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 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.
꽃은 6월 말~8월 말경에 피고 가지 끝에 원뿔형을 이루며 5~15개가 달린다. 꽃의 지름은 6~8cm이고, 색은 귤색인데, 안쪽은 주황색이다.
꽃받침은 길이가 3cm이고 5개로 갈라지며, 갈라진 조각은 바소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.
화관은 깔때기와 비슷한 종 모양이다. 수술은 4개 중 2개가 길고, 암술은 1개이다. 열매는 속에 씨앗이 들어있는 형태고 네모지며 2개로 갈라지고 10월에 익는다.
[서식 환경]
중국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들여와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관상용으로 흔히 심고 있는 귀화식물이다.
한국의 야생화 능소화
'◈함께하면좋은것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본 오사카 오므라이스 맛집 메이지켄 (0) | 2018.03.12 |
---|---|
오사카 맛집 홉 슈크림 슈크림빵 (0) | 2018.03.12 |
방화동 가족휴가촌 오토캠핑장 전북캠핑장 (0) | 2018.03.06 |
안면도가족펜션 추천 (0) | 2018.03.05 |
제주풀래티늄카라반 제주도캠핑장 (0) | 2018.03.05 |